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필수정보

창호의 재료별 종류와 특징 (시스템, 목재, 알루미늄 등)

합성수지 창호는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이 좋으며, 밀폐성이 우수합니다. 방음,방수가 가능하며, 일반 주택에서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알루미늄 창호보다 무겁고 강도가 낮으며, 내화성에 약해서 주유소 건물 등 위험물 저장 창고에서는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고온의 열판으로 녹여 붙이는 방식으로 용접식 창호 입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며, 조립식인 알루미늄과 목창호와 다르게 다양한 형태로는 제작이 어렵습니다.

폴딩도어 창호는 카페나 상업공간 뿐 아니라, 거실 베란다로 나가는 문을 접이식으로 열고 닫아, 개방감이 좋아,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합니다. 넓은 채광과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개폐방식에 따라 단열에는 취약 할수 있습니다. 이쁜 디자인에 인테리어 효과까지 뛰어나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카페스타일 입니다. 

 


목재 창호는 변형과 수축이 생겨 강도가 저하되기 쉬우므로 결이 좋은 건조재를 사용합니다. (함수율 12~15% 이하)

※ 장점: 중량에 비해 강하고 의장상 가공이 풍부합니다.
※ 단점: 결로 및 화재에 취약합니다.

보통 실내 미서기 및 여닫이 형태에서 사용 하는데, 목창호의 원목 그 소재 특유의 느낌은 멋스럽고 시트지로 따라 갈수 없지만 단열, 기밀, 수질, 차음 등의 성질이 제알 낮아 특별한 경우 아니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알루미늄 창호는 건축물의 일반창호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요. 비중은 철의 1/3로 경량이며 녹슬지 않아 유지관리가 쉽고 사용연한이 깁니다. 기밀성과 수밀성이 우수하고 여닫음이 경쾌하며 플라스틱 창호에 비해 내화성능이 좋습니다. 

표면과 용접부가 철보다 약한데, 알칼리성에 약하며 접촉면에서는 중성제를 도포하거나 격리재로 완전히 차단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강재창호에 비해 내화성이 약하며, 단열에 취약해서 결로가 잘 생깁니다.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기밀성/풍압성이 좋지만 온도변화에 약해 여름철 창호 문이 늘어나거나, 뒤틀리는 등 변성으로 인해 창문을 열고 닫을 때 소음이 조금 있습니다. 단열에 취햑해서 최근에 지어지고 있는 아파트에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합성수지 창호는 단창과 이중창으로 구분되는데, 단창은 아파트가 비 확장일 경우 거실 분합 문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이유는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창짝이 두개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와 내부를 더욱 튼튼히 보호하기 때문에 내 풍압성, 기밀성 등의 기능이 일반 이중창에 비해 뛰어납니다. 

 



다만 발코니 이중창은 비싸다 보니 발코니 이중창은 확장형 거실에서 직접 맞닿은 외부에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아파트의 경우 베란다 확장 공사를 통해 거실을 넓게 써, 외부와 내부가 직접 맞닿는 부분의 면적이 더욱 넓어지기 때문에 가격이 조금 더 나가지만 여러 면에서 성능이 좋은 발코니 이중창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창호입니다. 창틀과 유리 사이의 틈을 최대한 없애고 일체화 시킨 창호로써 일반 창호와 비교 했을 때 단열성, 기밀성, 내압성, 수밀성 등 모 든면에 제일 뛰어난 기능을 가졌습니다. 계폐 방식은 미닫이,여닫이,슬라이딩 앤 틸트, 틸트앤턴 등 다양하며, 창호가 무겁고, 시공시 까다로운 점이 있어서, 일반 창호와 비교했을 때 고가 입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나무숨 가구 | 민경호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1185-2 | 사업자 등록번호 : 142-81-35817 | TEL : 031-272-0606 | Mail : namoosoom@hanmail.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